행복한 인생을 위하여 행복한 인생을 위하여/김홍성 사랑은 소리없이 쌓여 가지만 소리없이 무너지는 사랑이 많은 것은 사랑을 소유하려 하기 때문이다 사랑이 무너지는 것은 서로의 믿음이 부족하기도 하지만 자신의 중심에서 생각하기 때문이며 사랑은 받는 것이 아니라 파릇파릇 생기나는 사랑으로 출렁.. 세상만사/인생사 얘기 2019.01.15
인터넷 예(禮)의(義) 9가지 인터넷 예(禮)의(義) 9가지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 화(和), 겸(謙), 노(努), 정(正) ★ 인(仁) 늘 좋은 내용의 글이나 그림, 정보, 풍물 등을 꾸준하게 발송 및 수신하게 됨은 즐거움이니 이것을 ''인(仁)''이라 한다. ★ 의(義) 정성들여 보낸 메일을 메일함을 곧 확인해서 읽어주.. 세상만사/세상만사 窓 2019.01.15
편안함과 친숙함의 차이 편안함과 친숙함의 차이 편안함은 사람을 만만하게 보지않지만 친숙함은 사람을 만만하게 볼 수 있다. 편안함은 말이 없어도 상관없지만 친숙함은 말이 없으면 거북해진다. 편안함은 신뢰와 믿음이 쌓여가지만 친숙함은 얼굴도장을 지속적으로 찍어 주어야만 생명력을 가진다. 편안함.. 세상만사/좋은 생각들 2019.01.15
참 좋은 삶의 인연 +♡+ 참 좋은 삶의 인연... +♡+ 우리의 소중한 인연은 진실된 마음이 통하여 기쁨과 행복이 넘쳐나는 참 좋은 삶의 인연이고 싶습니다. 우리 함께하는 참 좋은 인연으로 영롱한 아침 이슬처럼 맑고 밝은 마음으로 서로를 위로하고 배려하는 푸른 삶의 향내음이 가득한 참 아름다운 삶의 인.. 세상만사/좋은 생각들 2019.01.15
조금만 더 조금만 더..조금만 더 웃으면어둠이 사라지고마음에 등불을 환하게밝힐 수 있습니다조금만 더 사랑한다면 아픔도 사라지고상처가 깨끗이 치유될 수 있습니다조금만 더 이해한다면편견도 사라지고용서로 고통에서떠날 수 있습니다조금만 더 인내한다면 지루함도 사라지고어떤 어려움도 이겨낼 수 있습니다 조금만 더 열정을 쏟으면어려움도 사라지고삶에 풍성한 열매를맺을 수 있습니다조금만 더가진 것을 나눈다면가난한 이웃을 따뜻하게 도울 수 있습니다 조금만 더 따뜻하게 포근하게 감싸준다면상처도 치유되고 행복을 함께 나눌 수 있습니다 좋은 글 중에서 배경 음악: 봄이오는 아리랑 고개 세상만사/좋은 생각들 2019.01.15
고장없이 가는 세월 고장없이 가는 세월 엊 그제 해가 서산에 걸리니까. 한 해의 마지막 연말이라며. 모두들 송년의 난리를 부추기더니. 언제 그랬냐는 듯 새해가 오고. 겨울이 지나 봄이오고 있네요 하루 하루 해는 뜨고 지기를 반복하고. 몇 푼의 돈도 주머니속을 들락거리더니 일주일이 휙 하고 지나가 버.. 세상만사/좋은 생각들 2019.01.15
인생은 구름이며 바람이어라 인생은 구름이며 바람이어라 그 누가 날더러 청춘이 바람이냐고 묻거든, 나..그렇다고 말하리니.. 그 누가 날더러 인생도 구름이냐고 묻거든, 나..또한 그렇노라고 답하리라.. 왜냐고 묻거든 나..또 말하리라.. 청춘도 한 번 왔다 가고 아니 오며 인생 또한 한 번 가면 되돌아 올 수 없으니, .. 세상만사/인생사 얘기 2019.01.15
어느 선술집에 걸려있는 글 어느 선술집에 걸려있는 글 친구야! 이쁜 자식도 어릴 때가 좋고 마누라도 배꼽 밑이 즐거울 때가 부부 아니냐. 형제간도 어릴 때가 좋고 벗도 형편이 같을 때가 진정한 벗이 아니더냐. 돈만 알아 요망지게 살아도 세월은 가고 조금 모자란 듯 살아도 손해 볼 것 없는 인생사라 속을 줄도 .. 세상만사/인생사 얘기 2019.01.14
사흘만 볼 수 있다면(Three Day To See) 사흘만 볼 수 있다면(Three Day To See) (헬렌 애덤스 켈러(Helen Adams Keller, 1880.6.27~1968.6.1) 헬렌 켈러가 어느 날 숲속을 다녀온 친구에게 물었습니다. 무엇을 보았느냐고. 그 친구는 별로 특별한 것이 없었다고 말했습니다. 헬렌 켈러는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두 눈 뜨고도 두 귀 열고도 별로 특.. 세상만사/세상만사 窓 2019.01.14
세상을 바꾼 20인은 누구인가? 세계를 바꾼 20인은 누구인가? ▶1위는 ‘예수 그리스도’ 입니다. 오늘날 서양적 가치관에 정복당한 동양도 결코 지금의 동양이 아니었을 것입니다. 33세에 죽은 목수의 삶이 전 인류에게 이렇게 지울 수 없는 흔적을 남겼습니다. 나폴레옹이나 마르크스 정도는 100번 죽었다 태어나도 따.. 세상만사/세상만사 窓 2019.01.14